네트워크는 너무 기본적인 내용만 알고 있었는데
점점 기본도 까먹을 지경이라 다시 시작하는 네트워크 공부일기
첫 번째 글은 제일 기초적인 내용으로 시작하려고 한다.
LAN과 WAN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와 IP 주소/MAC 주소와 같은 네트워크 주소 체계에 대해 정리해보자.
LAN과 WAN
망은 크게 LAN과 WAN으로 구성된다.
LAN (Local Area Network) 은 라우터나 스위치 같은 장비를 이용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들과 서버를 묶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 스위치 또는 허브
다수의 PC와 서버들을 연결하는 중계 장비로 다른 스위치나 게이트웨이 장비와 연결이 가능
* LAN 케이블
LAN 상에서 사용되는 회선
WAN (Wide Area Network) 은 지역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LAN 등을 연결해주는 중계망을 의미한다.
원거리에 있는 네트워크의 경우 같은 라우터나 스위치에 묶을 수 없는 한계가 있는데 이런 네트워크 간의 연결이 필요할 때 WAN을 사용한다.
네트워크 주소 체계
컴퓨터 시스템도 각자의 유일한 주소가 있다.
이를 TCP/IP 등록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cmd 창에서 명령어 ipconfig를 통해 기본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1) IP 주소 : 논리적 주소 또는 3 계층 주소
- 네트워크 그룹 주소 (Network ID) + 일련번호 (Host ID)
- 해당 컴퓨터가 어느 그룹의 몇 번째 PC인지를 확인 가능
2)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의 네트워크 그룹 주소와 일련번호를 구분할 수 있는 값
-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AND 연산자로 연산하면 Network ID (네트워크 그룹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 같은 그룹에 묶여있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
ex) IP 주소 192.123.45.83,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일 때
Network ID는 192.123.45
Host ID (일련번호)는 83
* 내부망과 외부망
- 내부망 : 송수신지가 동일한 Network ID를 사용
- 외부망 : 송수신지가 서로 다른 Network ID를 사용
망에 따라 데이터 전송 시, 사용되는 장비와 운영방식이 다르므로 트래픽을 전송하기 전에 송신지 입장에서 수신지의 내부망/외부망 여부 반드시 확인 필요!
3) 기본 게이트웨이 (default gateway)
- 라우터 및 스위치를 통해 받게 되는 정보
- LAN에 묶여있는 client, server의 TCP/IP 등록 정보를 확인하면 기본 게이트웨이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집에서 종종 쓰는 iptime 등의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이를 통해 연결된 PC 및 스마트폰의 Network ID가 동일할 것이다.
이를 조합해보면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등으로 확인한 Network ID와 Host ID 정보를 통해, 동일한 Network ID를 공유하는 장치들의 공간을 LAN이라고 볼 수 있고 그 안에서 Host ID를 통해 각 기기를 구분할 수 있다.
MAC 주소란?
MAC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Network Interface Card (NIC) 또는 Ethernet Card(랜카드)에 부여된 주소
- 물리적 주소 또는 2 계층 주소
- 중복이 되어서는 안 되는 고유한 번호
ex) IP 주소를 사람 이름이라고 치면 MAC 주소는 개개인의 주민번호와 유사한 개념
cmd 명령어 ipconfig를 통해 기본 IP 주소 체계에 대해 확인했다면, MAC 주소의 경우는 좀 더 세부적인 내용 확인을 위해 ipconfig /all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물리적 주소라고 뜨는 부분이 MAC 주소
- DNS 서버에 기재된 내용으로 DNS 주소 확인 가능
MAC Address 구성
MAC 주소는 16진수로 표현되며 12자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작성하면 이런 형태
11-22-33-AA-BB-BB
앞 6자리는 제조회사 식별번호, 뒤 6자리는 카드 일련번호를 나타낸다.
제조회사 식별번호는 조직 번호 또는 OUI (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라고 하고 제조회사가 임의로 사용할 수 있는 게 아니라 IEEE에서 관리한다.
[참고] IEEE 할당 OUI 번호
http://standards-oui.ieee.org/oui/oui.txt
카드 일련번호는 제조회사가 개별적으로 부착하는 번호로 이를 통해 해당 업체에서 랜카드를 제조한 순서 파악이 가능하다.
FQDN이란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절대 도메인 네임 또는 전체 도메인 네임을 말하며 시스템을 호칭하는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Host Name + Domain Name
Domain Name은 알다시피 네이버, 다음, 티스토리 등이 있는데 Host Name이 뭘까 싶은데 아주 대표적인 예로 티스토리 도메인을 생각하면 된다.
ex) ojava.tistory.com
URI와 헷갈릴 수 있는 개념인데 URI가 좀 더 큰 범위라고 보면 된다.
*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는 통합 자원 식별자로 정보 리소스를 제공하는 위치를 말함
내 블로그 주소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https://ojava.tistory.com:80/posts/list?title=network
- https : 프로토콜
- ojava.tistory.com : FQDN
- 80 : 포트번호
- posts/list : 경로 (Path)
- title=network : 질의 매개변수 (Query Parameter)
2, 3, 4번을 일컬어 절대 주소라고 하고 프로토콜과 절대 주소를 포함한 주소를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이라고도 한다.
URL = 프로토콜 :// 절대 주소
5의 경우 조회 조건 등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상대 주소를 의미한다.
[참고] 주소 체계 별 구성요소 정리
MAC 주소 구성 = 제조회사 (앞 6자리) + 일련번호 (뒤 6자리)
IP 주소 구성 = Network ID + Host ID
FQDN 주소 구성 = 호스트명 + 도메인명
URL 주소 구성 = 프로토콜 + 절대주소 (FQND + 포트 번호 + 경로)
URI 주소 구성 = URL 주소 + 질의 매개변수
포트번호
동일한 컴퓨터 안에서 다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다수의 통신 프로그램을 식별할 때 사용하게 된다.
포트번호를 통해 여러 개의 웹 기반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포트번호는 애플리케이션 주소 또는 프로그램 주소라고도 하며, 4 계층 주소에 해당된다.
포트번호의 범위는 1~65535 까지 이며, 표준 규약으로 지정된 포트들이 있는데 이 번호들은 IANA에서 관리한다.
* IANA (Internet Assigned Number Authority)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기관
RFC 1700 문서에서도 포트 번호를 아래와 같이 분류하고 있다.
잘 알려진 포트 번호 (Well-Known Port) | 1~1023 |
등록된 포트번호 (Registered Port) | 1024~49151 |
동적 포트번호 (Dynamic Port) | 49152~66535 |
잘 알려진 포트 번호는 서버 측에서 사용한다.
21 FTP, 23 Telnet, 25 SMTP, 80 HTTP 등 매우 잘 알려진 포트를 의미한다.
정적 포트 번호 역시 서버 측에서 사용하며, 기관이나 사업자를 위해 IANA에서 관리하는 포트이다.
등록된 포트번호는 다른 용도로 사용해도 무관하다고 한다.
어딘가 포트번호를 설정해야 한다면 잘 알려진 포트 또는 등록된 포트 번호보다는 동적 포트번호를 사용하는게 문제가 일어날 확률이 적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린이 공부일기] 기초 중의 기초 IP주소 체계 (0) | 2022.04.11 |
---|---|
[네린이 공부일기] 내부망/외부망 트래픽 흐름 (0) | 2022.04.09 |
[네린이 공부일기] 트래픽 전송 모드 :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0) | 2022.04.08 |
IP 주소 연결방식 : VIP, MIP, Policy-based (0) | 2017.12.05 |
crontab 설정 사용방법 (0) | 2016.11.08 |